📌 요약
✔ K-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다음 달에 이용요금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 주는 제도입니다.
✔ 2025년에는 다자녀 가구 유형(2자녀 30%, 3자녀 50%)이 신설되고, 참여 지자체(210개)·카드사가 확대되었습니다.
✔ 청년(만 19~34세)은 30% 환급, 월 최대 60회·일 2회까지 인정되며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도 환급됩니다.
👇 아래에서 신청 방법, 환급률, 지자체 추가혜택, 환급 계산 예시를 한 번에 확인하세요.
🗂️ 목차
1. 2025 핵심 요약
2. 대상·환급률·이용조건
3. 신청·이용 방법
4. 지역별 추가 혜택 비교
5. 환급 계산 예시·유의사항
6. 마무리 요약
7. 자주 묻는 질문(FAQ)
🔶 2025 핵심 요약
✔ 청년(만 19~34세) 30% 환급, 일반 20%, 저소득 53.3%
✔ 다자녀 가구 신설: 2자녀 30%, 3자녀 50%(부모만 해당, 자녀 1명 이상 만 18세 이하 포함)
✔ 이용 요건: 월 15회 이상, 월 최대 60회·일 2회까지 인정(금액 높은 순 2건/일)
✔ 상한 규정: 월 20만 원 초과분은 50%만 인정 후 환급률 적용
✔ 가입 첫 달 특례: 15회 미만도 환급
✔ 효과: 이용자 300만 명 돌파, 월 평균 약 1.8만 원 환급(청년·저소득층 체감효과 큼)
🔶 대상·환급률·이용조건
구분 | 환급률 | 자격 | 적립 인정 |
---|---|---|---|
일반 | 20% | 만 35세 이상 등 일반 | 월 15회 이상, 월 60회·일 2회 |
청년 | 30% | 만 19~34세 | 동일 |
저소득 | 53.3% | 기초생활수급·차상위 | 동일 |
다자녀(2) | 30% | 성인+자녀 2명 이상(만 18세 이하 1명 포함) | 동일 |
다자녀(3) | 50% | 자녀 3명 이상 | 동일 |
(출처: 국토교통부·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K-패스 안내)
※ 복수 유형 해당 시 가장 높은 환급률 1종만 적용
✔ 다자녀 K-패스 인증 방법
▪ K-패스 앱/누리집 ‘My > 다자녀 정보’에서 주민등록 기반 실시간 인증
▪ 실시간 인증 불가 시 가족관계증명서로 서류 인증
▪ 인증 완료 시점부터 상향 환급률 적용
✔ 지자체·카드사 확대(2025)
▪ 참여 지자체 189 → 210(일부 지역 제외), 전국 이용 가능
▪ 카드사 11 → 13, 카드 27종 → 32 (롯데·레일플러스·카카오뱅크·iM뱅크·네이버페이 추가 예정)
🔶 신청·이용 방법
1. 참여 카드·플랫폼의 K-패스 전용 교통카드 발급(신용/체크/선불)
2. K-패스 앱 또는 누리집(korea-pass.kr) 회원가입
3. 카드 등록 & 환급 계좌 설정
4. 매월 실적 집계 후 다음 달 영업일 7일 카드사로 지급 요청(카드사별 입금일 상이)
※ 적립내역은 이용 후 영업일 기준 2~14일 사이 확인 가능(정산 구조상 실시간 반영 아님)
✔ 적용/제외 교통수단
▪ 적용: 전국 지하철·도시/광역철도(GTX 포함), 시내·광역·마을버스 등
▪ 제외: 고속·시외·공항버스, KTX/SRT 등 별도 승차권 수단
✔ 카드 발급 경로
▪ 후불(신용/체크): 카드사 앱·웹, 일부 은행 창구
▪ 선불: 모바일 이즐/카카오페이/iM원패스, 편의점·지하철 역사 실물
▪ 모바일페이: 안드로이드는 후불교통카드 등록 가능(아이폰 불가)
🔶 지역별 추가 혜택 비교
지역 | 청년 범위/추가 | 저소득 상향 | 횟수 제한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경기 | 39세까지 청년 인정(+10%p) | — | 61회 ~ 무제한 | The경기패스 |
인천 | 39세까지(+10%p), 65세 이상 +10%p | — | 61회 ~ 무제한 | I-패스 |
부산 | — | — | — | 동백패스와 K-패스 자동 비교, 더 큰 금액 환급 |
세종 | — | — | 금액기반 추가 혜택 | 월 2만 선결제 시 5만 무료 이용 등 |
광주 | 39세까지, 65세 이상 +30%p | +11%p(총 64%) | — | G-패스 |
경남 | 39세까지 | +47%p(총 100%) | 61회 ~ 무제한 | 75세 이상 최소횟수 완화 |
🔶 환급금 계산 예시•유의사항
✔ 규정: 월 20만 원까지 전액 인정, 초과분은 50%만 인정 후 환급률 적용
✔ 예시(청년 30%)
케이스 | 월 이용금액 | 인정 금액 계산 | 적용 환급률 | 환급액 |
---|---|---|---|---|
A | 180,000원 | 180,000원 | 30% | 54,000원 |
B | 220,000원 | 200,000원 + (20,000원 × 50%) = 210,000원 | 30% | 63,000원 |
🔶 마무리 요약
✔ 청년 30%·일반 20%·저소득 53.3% + 다자녀(2) 30%, (3) 50%
✔ 월 15회 이상, 월 60회·일 2회까지 적립(가입 첫 달 특례)
✔ 월 20만 원 초과분은 50%만 인정 후 환급률 적용
✔ 지역별 맞춤형 K-패스(경기·인천·부산·세종·광주·경남)로 추가 혜택 가능
✔ 카드 발급–앱 가입–카드 등록–다음 달 환급 순서, 적립내역은 실시간이 아닌 정산 후 확인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K-패스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?
→ K-패스 앱 또는 누리집(korea-pass.kr)에서 회원가입 후 카드 등록을 하면 됩니다.
Q. 다자녀 K-패스는 누구에게 적용되나요?
→ 자녀 2명(만 18세 이하 1명 포함) 30%, 자녀 3명 50%입니다.
Q. K-패스 환급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?
→ 20만 원까지 전액 인정, 초과분의 50%만 인정한 금액에 환급률을 곱합니다.
Q. K-패스 카드 발급은 무엇을 쓰면 좋나요?
→ 후불(신용/체크) 또는 모바일 선불 등 참여 카드/플랫폼에서 발급 가능합니다.
Q. 지자체 K-패스 추가 혜택은 어디서 확인하나요?
→ 해당 지자체 공지와 카드사 공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(변동 가능).
※ 이 글은 국토교통부·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·한국교통안전공단의 공식 공고/보도자료·제도 안내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👉 공식 출처 & 링크(제목 기준)
🔗「25년 대중교통비 환급지원사업(K-패스) 추진계획 공고(국토교통부, 2025-02-11)」
🔗「K-패스, ’25년부터 다자녀 가구 유형 신설 등 혜택 확대(보도자료, 2025-01-02)」
🔗「K-패스 출시 10개월 만에 이용자 300만 명 돌파(국토교통부 보도자료, 2025-03-03)」
🔗 K-패스 앱/누리집(korea-pass.kr) ‘카드 소개/사용안내’
📌 내부링크
🔗 [2025 최신] 청년도약계좌 혜택 총정리|가입조건·정부지원금·신청방법 완벽 안내
[2025 최신] 청년도약계좌 혜택 총정리|가입조건·정부지원금·신청방법 완벽 안내
📌 요약청년의 자산 형성과 사회 자립을 위한 대표 금융정책 ‘청년도약계좌’. 2025년 현재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이 제도의 지원 대상, 적금방식, 금리 혜택, 정부 기여금, 신청 방법까지
joypolicylife.com
🔗 2025 에너지바우처 총정리|신청 대상부터 지원 금액, 신청 방법까지!
2025 에너지바우처 총정리|신청 대상부터 지원 금액, 신청 방법까지!
📌 요약✔ 에너지바우처는 에너지 취약계층에게 여름·겨울철 냉난방비를 지원하는 정부 제도입니다.✔ 2025년 에너지바우처 신청 대상, 지원금액, 사용방법 등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했습니
joypolicylife.com
👍 도움이 되셨다면 ‘공감’과 ‘댓글’로 응원 부탁드려요 😊
더 유익한 청년 정책·교통비 절약 정보는 ‘조이정책라이프’에서 계속 업데이트합니다!
'청년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 최신] 청년도약계좌 혜택 총정리|가입조건·정부지원금·신청방법 완벽 안내 (11) | 2025.08.06 |
---|